카렌 암스트롱의 「신의 전쟁: 성스러운 폭력의 역사」

“어떤 신앙 전통도 군사적으로 막강한 제국의 후원이 없었다면 ‘세계 종교’가 되지 못했을 것이며, 모든 전통은 어쩔 수 없이 제국의 이데올로기를 개발하게 된다.” 30p 모든 전쟁은 자원 경쟁에서 비롯된다. 인류는 더 많은 식량, 자원, 토지를 차지하기 위하여 죽음을 무릅쓰고 전쟁을 벌여왔다. 전장의 깃발에는 온갖 숭고하고 휘황찬란한 가치가 아로새겨져 나부끼지만, 사실 자원 경쟁의 틀을 넘어서는 고도의 대의명분은... Continue Reading →

로버트 해리스의 「콘클라베(Conclave): 신의 선택을 받은 자」

거룩한 성의를 걸친 종교계의 흑막을 열어 젖히는 이야기는 늘 우리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특히 로마 가톨릭은 지난 2000년 간 박해의 상징으로, 시대의 율법으로, 구습의 망령으로, 혹은 평화의 또 다른 이름으로 적절하게 옷을 갈아입으며 지금 이 순간에도 그 찬란한 역사를 이어가고 있기에, 그 내막에 대한 궁금증도 더불어 커져간다. 종교는 필연적으로 어느 정도의 신비를 동반하며 그 생명을 유지하기... Continue Reading →

김혜경의 「인류의 꽃이 된 도시, 피렌체(2016)」

제목이 예고하듯, 지적인 교양서적이라기보다는 편파적인 '피렌체 찬가'에 가깝다. 지식 수준은 아르노 강 수심에도 훨씬 못 미치고, 내러티브가 조각나 산만한 느낌이다. 르네상스와 피렌체 역사에 관심있는 중고등학생을 위한 교양서 정도로만 생각하면 무난한 점수를 줄 수 있을 것이다. 불필요하게 감성을 자극하는 표현들과 탄식이 많이 등장하는 점이 특히 아쉽고, 신학을 전공한 저자의 가톨릭적 색채가 적나라하게 묻어나는 점 또한 아쉽다.... Continue Reading →

워드프레스닷컴에서 웹사이트 또는 블로그 만들기

위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