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렌체 미술여행] 1일차(2/2) – 시뇨리아 광장, 미켈란젤로 광장

2018. 9. 29. 르네상스와 바로크의 위대한 회화들과 만남을 뒤로 한 채, 지친 다리와 헛헛한 마음을 부여잡고 출구로 빠져나왔다. 엄청나게 많은 명작들 사이에 파묻혀 오랫동안 시간을 보내다 돌아서면 마치 연극 무대에서 방금 내려온 무명 배우와 같은 허한 감정을 느끼게 마련이다. 그런데 한 숨을 채 돌리기도 전에 시뇨리아 광장(Piazza della Signoria)에서 벌어지는 난리법석이 나의 시선을 잡아 끌었다. 어떤 상황인지는... Continue Reading →

케네스 클라크의 「누드의 미술사: 이상적인 형태에 관한 연구」

우리의 눈은 늘 그 곳에 멈춘다. 늘 그것을 보고 싶어 하고 또 이야기하고 싶어한다. 하지만 이내 입을 다물고 만다. 그것에 늘 매혹되면서도 그 이유를 설명하지 못하거나 차라리 거부한다. 아니, 거부 당한다. '몸'은 이처럼 우리를 강하게 매혹하며, 동시에 매몰차게 배반한다. 늘 우리의 머리 속을 떠나지 않는 바로 그것에 관하여 이토록 온전히 집중하고 있는 미술사 저술은 찾아보기... Continue Reading →

미켈란젤로 : 사랑과 죽음 (Michelangelo : Love and Death, 2017)

메가박스에서 수입하고 있는 '스크린 뮤지엄' 다큐멘터리의 다섯 번째 개봉작이다. 내가 본 회차는 '클래식 소사이어티 토크'라고 하는 고고한 수식어를 달고, 전문가에 의한 큐레이션이 덧붙여지는 기획이었다. 르네상스를 대표하면서 동시에 그것을 완성하고, 메너리즘의 문을 열어 젖히기까지한 천재의 삶과 예술을 입체적으로 조망하였다. 내용 면에서는 새로울 것이 없었고, 조르죠 바사리(Giorgio Vasari)와 아스카니오 콘디비(Ascanio Condivi)의 미켈란젤로 전기에서 인용한 나레이션과 전문가들의 인터뷰를... Continue Reading →

김혜경의 「인류의 꽃이 된 도시, 피렌체(2016)」

제목이 예고하듯, 지적인 교양서적이라기보다는 편파적인 '피렌체 찬가'에 가깝다. 지식 수준은 아르노 강 수심에도 훨씬 못 미치고, 내러티브가 조각나 산만한 느낌이다. 르네상스와 피렌체 역사에 관심있는 중고등학생을 위한 교양서 정도로만 생각하면 무난한 점수를 줄 수 있을 것이다. 불필요하게 감성을 자극하는 표현들과 탄식이 많이 등장하는 점이 특히 아쉽고, 신학을 전공한 저자의 가톨릭적 색채가 적나라하게 묻어나는 점 또한 아쉽다.... Continue Reading →

워드프레스닷컴에서 웹사이트 또는 블로그 만들기

위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