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디 다 같이 슬퍼하자. 그러나 다 같이 바보가 되지는 말자.” 수전 손택, 「타인의 고통」 Susan Sontag(2003), Regarding the Pain of Others 무더위 속에서 이 책을 읽고 이제야 글로 정리한다. 진작 썼어야 하는 데 바쁘다는 핑계로 차일피일 미루다 보니 어느덧 낙엽이 쌓인다. 먹고 살기 위한 글에 쫓기다 보면 사적으로 쓰는 글도 일처럼 느껴진다. 미뤄뒀던 글감이 어떤... Continue Reading →
시대의 얼굴: 셰익스피어에서 에드 시런까지 展 (국립중앙박물관)
보통사람을 위한 목 좋은 귀퉁이 하나 정도는 이미지를 남기는 기술이 발달하고 대중화될수록 개별 이미지의 가치는 계속 하락해 왔다. 종교개혁 이전에 템페라나 유화로 어떤 인물을 그렸다면, 그 대상은 대체로 고전 속 영웅이거나 신적 존재였다. 하나의 작품을 그리는데 엄청난 노동력과 재능, 그리고 재료비가 투입되던 시기였다. 그 비용을 감수하고 무언가를 만든다면, ‘적절한’ 대상을 다뤄야 했다. 신의 시대가 끝난... Continue Reading →
쇠오리 가족
충북혁신도시의 작은 실개천에서 쇠오리 가족을 만났다. 며칠전부터 여기서 목격되는 것을 보면 아예 이곳에서 올 겨울을 나기로 작정한 모양이다. 경계병 하나를 세워 두고 먹이 찾기에 여념이 없다. 겨우내 부지런히 살을 찌워야 봄이 오면 새로운 여정에 오를 수 있다. 물 속에 머리를 박고 먹을 것을 찾거나, 짚 더미를 헤집으며 작은 곤충 따위를 게걸스럽게 먹어 치운다. 먹이가 나오는... Continue Reading →
존 버거의 「사진의 이해」 (제프 다이어 엮음)
John Berger, Understanding a Photograph "나는 내가 본 것들을 말로 표현하려고 노력한다."181p 존 버거(John Berger)가 평생에 걸쳐 해온 일을 생각하면 이보다 더 적합한 자기소개는 없다. 그는 미술평론가라는 경직된 호칭보다는 그저 본 것을 말하는 사람, 한 사람의 이야기꾼으로 남고 싶어 했고, 이 머나먼 땅에서도 그의 책들이 줄줄이 번역되어 출간되고 있는 것을 보면 그 바람은 충분히 이루어지고... Continue Reading →
르네 마그리트: THE REVEALING IMAGE 展 (용인 뮤지엄그라운드)
초현실주의자, 사진가, 그리고... 르네 마그리트(René Magritte)는 초콜릿, 와플, 밀맥주를 뛰어넘는 벨기에의 대표상품이다. 그의 작품들은 친숙한 매개체들로 고도의 지적 유희를 유발하는 독특한 매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감성적으로 보이고 싶은 뜨내기들에서부터 저명한 철학자들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대중의 관심을 받아왔다. 장식적인 아름다움과 생각할만한 심오한 요소들을 고루 갖춘 작품을 내놓는다는 것은 절대 쉬운 일이 아닌데, 마그리트는 그 어려운 과제에 성공한... Continue Reading →
문명: 지금 우리가 사는 방법 展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제목에 매우 충실한 전시다. 약 300여점의 사진을 통해 동시대 인류에게 벌어지는 일들을 다각도로 고찰했다. 지역, 인종, 젠더, 종교를 망라한 작품들은 넓은 공간 속에 자유롭게 펼쳐져 있고, 관람객들은 느슨한 동선을 따라 그 사이를 유영할 수 있다. 각각의 작품들은 하나의 키워드에 묶여 있기는 하지만, 반드시 그 키워드에 연관된 사유만을 자극하는 것은 아니다. 문명을 바라보는 작가들의 시선이 매우... Continue Reading →
발터 벤야민 & 에스터 레슬리의 「발터 벤야민, 사진에 대하여」
이 두 장의 고양이 사진이 지금까지 내가 찍은 최고의 작품이다. 이 작품을 만들기 위해서 내가 노력한 부분은 사실상 없다. 토속적인 순간을 담고 싶다는 그릇된 이분법적 시선에 이끌려 강릉 사천항에 당도했을 뿐이고, 나와 같은 시공간 속에 이 아기 고양이가 존재했을 뿐이다. 내 노력은 고작 카메라를 켜고, 무릎을 굽히고, 이 아름다운 생명체의 관심을 끌기 위해 괴이한 가성을 내는 정도에... Continue Reading →
뜨거운 볕 아래
6월이 온 것을 못 믿을까봐서 그런지 볕이 뜨겁다 못해 따갑다. 볕을 피해 그늘로 몸을 숨긴 청년기의 고양이다. 호기심과 경계심이 뒤섞인 표정이 재밌다. 전에도 만났었던 이 녀석의 이름을 찾기 위해 "몸은 초록색이고 머리에 붉은 점이 있는 새" 따위를 검색창에 넣어 보았다. 어떤 블로거가 친절하게도 청딱따구리라고 알려줬다. 붉은 점은 숫컷에게만 있다. 비둘기, 까치, 참새에는 못미치겠지만, 서울에 꽤... Continue Reading →
내셔널지오그래픽 특별展 – Photo Ark: 동물들을 위한 방주 (전쟁기념관 특별전시실)
사진작가 조엘 사토리(Joel Sartore)가 각 국의 동물 보호 기관을 돌아다니며 찍은 '희귀동물 증명사진'들이 출품되었다. 이 사진들을 증명사진이라고 지칭할 수 있는 첫 번째 이유는, 이 동물들이 아직은 이 지구 상 어딘가에 분명 존재한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 작업의 명시적 의도이기 때문이다. 두 번째 이유는 형식면에서, 출품된 대부분의 사진이 렌즈와 눈을 맞춘 동물들의 정적인 순간을 포착하고 있기 때문이다.... Continue Reading →
초겨울 전주에서
2년 만에 전주에 간다. 제한된 시간 동안 전주에 머무른다면, 진부하겠지만 결국 또 한옥마을일 수 밖에 없겠지. 예전에도 느꼈는데, 한옥마을은 의외로 길고양이가 많은 곳이다. 어떤 장소를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그들에게 기생해서 살아가는 고양이도 자연스레 많아지나보다. 만약 인류가 어떤 질병에 의해 갑작스럽게 멸종한다면 도시의 고양이들도 멸종할까? 아마 그건 아닐게다. 분명 몇몇은 생존경쟁에서 불가피하게 탈락하겠지만, 결국 녀석들은 어떻게든... Continue Read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