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시 잊고 있었던 빛 부제가 붙지 않은 전시를 실로 오랜만에 본다. 어지간한 거장의 전시라면 비장한 부제가 이름 뒤에 하나쯤 따라오면서 그 작가의 미술사적 공로를 압축하기 마련인데 말이다. 그런데 데이비드 호크니(David Hockney) 정도 되면, 그러니까 생존 화가 최고 낙찰가 기록(9천 만 달러)을 보유한 81세의 대가쯤 되면 그런 부제조차도 거추장스럽게 느껴지나 보다. 그래서 그냥 <데이비드 호크니 展>이다.... Continue Reading →
미술품 감정기반 구축사업 컨퍼런스 – 「미술품 감정: 전문성과 협업」
2018년 11월 8일(목)부터 10일(토)까지 세종문화회관과 서울시립미술관에서 「미술품 감정: 전문성과 협업」이라는 주제로 국제 학술대회와 워크숍이 열렸다. (사)예술경영지원센터가 문화체육관광부의 후원으로 주최한 이번 행사 중에서 8~9일에 열린 워크숍은 평일에 열린 행사였고, 관련성이 있는 소수만 참석이 가능했기 때문에 나는 참석할 수 없었다. 대신 마지막 날인 토요일에 서울시립미술관 세마홀에서 열린 학술대회는 관심이 있는 누구라도 참석이 가능한 행사였기 때문에 여기에 참석했다.... Continue Reading →
르누아르의 여인 展 (서울시립미술관)
이번 르누아르의 여인 전은 한가람미술관의 오르세미술관 전과 마찬가지로 '2016 한-불 수교 130 주년'의 일환으로 기획되었다. 르누아르의 핵심적 주제라고 할 수 있는 '여성'에 대한 다양한 각도의 고찰이 이루어졌다. 전시된 작품의 수준은 솔직히 말해서 높지 않다. 서울시립미술관이라는 네임 벨류를 생각하면 더욱 그렇다. 예술에는 서열을 매길 수 없지만, 대중의 기대치라는 것은 엄연히 존재한다. 그리고 '대표작'이라는 폭력적인 단어도 엄연히... Continue Read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