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대유행에 따라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진자 수는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지만, 삼청동에 자리한 국립현대미술관에서는 이러한 위기 상황을 전혀 의식할 수 없다. 입춘을 지나 다소 주춤해진 한파에 젊은이들은 저마다 한껏 치장한 채 손에 손잡고 미술관 로비를 가득 메웠다. 저마다 생기 넘치는 표정들이 무미건조한 마스크에 가려진 것이 못내 아쉬울 따름이다. 작년 7월에 오픈한 「MMCA 이건희컬렉션... Continue Reading →
올해의 작가상 2019 展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코끝이 매콤한 가을이 오면 올해는 ‘올해의 작가상’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 문득 궁금해진다. 그렇게 올해도 서울관을 찾았다. 올해의 작가상이 어떤 의미인지는 2018년에 이미 주저리주저리 다 썼으니까 바로 본론으로 들어간다. 올해의 ‘올해의 작가상’은 조금 남다른 구석이 있는데, 첫째로, 이 전시가 막이 오르기 직전에 ‘작년의 작가상’ 유력 후보 중 하나가 자살했다. 나는 2018년의 리뷰에서 그들이 내 취향과는 달리... Continue Reading →
올해의 작가상 2018 展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올해의 작가상 2017 展>을 보고 통인시장에 들러 먹었던 고로케의 기름맛이 아직도 선명한데, 어느덧 2018년의 작가를 뽑고 있다. 미술계의 연례행사로 '한 해'라는 작위적인 시간 단위를 새삼 상기한다. 어찌보면 1년의 시간을 전시로 지각할 수 있다는 것은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이다. 자동차세 납입이나 건보료 인상 따위로 지각하는 것 보다야 훨씬 낭만적이다. 테이트 브리튼(Tate Britain)의 터너 상(Turner Prize)에서 영감을 받은... Continue Reading →
올해의 작가상 2017 展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SBS문화재단과 국립현대미술관이 선정하는 '올해의 작가상'은 2012년부터 올해까지 6회째 이어지고 있으며, 그 뿌리는 1995년 '올해의 작가 展' 부터이다. 나름대로 전통과 공신력이 있는 행사이니 현대미술에 대한 공포증도 극복할 겸, 동시대 평단에서 인정 받고 있는 작가들의 작품 동향도 알아볼 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으로 향했다. '본격적인 시상식 시즌이 시작되는 것인가....' 라는 계절감도 느끼고 싶었다. 전시된 '올해의 작가상' 후보는 4명이며, 써니킴,... Continue Read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