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산다

DSC05359

요며칠 산책을 하며 눈에 띈 녀석들을 담아봤다.

우리는 세계적으로도 손꼽히는 인간 친화적인 도시에 고밀도로 모여 살면서 녀석들의 존재를 잊거나, 애써 모른척하며 살아간다.

DSC05360

비둘기야 흔하다 못해 혐오스러운 조류로 자리매김한지 오래지만, 산에서 만나는 녀석들은 조금 다르다. 인간이 버린(혹은, 토한) 것들에 연연하지 않는 도도함이 느껴진다고 할까.

내 시선에 대항하듯, 매서운 눈빛을 보내고 있는 이 녀석은 번식기를 맞아 몸을 한껏 부풀린 모양새다. 부풀린 보람이 있길 바란다…

DSC05365DSC05366DSC05370DSC05374

양재시민의숲에서 청설모를 만났다.

이 친구는 열매, 도토리, 씨앗 따위에 집착하는 본연의 임무를 망각한채 쓰레기통을 뒤지며 살아가는 방법을 터득한 듯 하다.

이 곳에는 딱히 천적이 없으며, 산책하는 사람들도 자신에게 호의 넘치는 시선을 보낸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래서 사람들이 50센티미터 가까이 접근해도 아랑곳하지 않고 쓰레기통을 뒤지는데 여념이 없다. 오히려 시선을 즐기는 것 같다.

그래서 ‘관종 청설모’ 라는 별명을 붙여주었다. 마음에 들면 좋겠다.

dsc05380.jpgDSC05399DSC05406

위풍당당한 고양이를 만났다.

나무 그루터기에 앉아서 숲을 호령하듯 멀리 내다보는 눈빛이 인상적이다.

DSC05409

국방색의 신비로운 빛깔을 지닌 이 새는…. 서울에서 좀처럼 보기 드문 녀석인데 무슨 종인지는 모르겠다.

누군가 알려줬으면… (윤무부 교수님..!)

DSC05424

삐죽삐죽 스포츠머리가 귀여운 직박구리

산에서는 흔하게 볼 수 있지만 서울에서는 나무가 우거진 곳에서만 볼 수 있다.

시골에서 사는 녀석들은 무척 경계심이 많지만 그래도 서울에서 사는 녀석들은 인간이 그다지 두렵지 않은지 한 발자국 더 다가가는 것을 허락해 준다.

dsc05427.jpg

박새도 서울에서는 만나기 힘들다.

얼핏보면 참새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삼각형의 흰 뺨과 날개의 흰 선이 뚜렷해서 구분할 수 있다.

입에 문 풀은 봄을 맞아 새로지을 둥지의 재료로 보인다. 저런 보잘 것 없는 풀떼기들이 모여서 둥지가 되고 거기서 새생명을 낳아 기른다.

DSC05459.JPG

이 왜가리도 둥지를 짓는데 여념이 없었다.

원래 호수 안에 있는 작은 섬에서만 살았던 녀석들이 최근에 영역을 확장해서 길가에 있는 나무 위에도 둥지를 틀고 있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얼핏보면 그저 탁하기만 한 호수이지만, 포식자들이 영역을 확장하는걸 보면 보이지 않는 곳에서는 왕성한 생명력이 움트고 있는 것 같다.

DSC05446

호숫가에서 일광욕을 즐기던 녀석이다. (위의 ‘숲의 제왕’과는 다른 녀석)

호숫가에 앉았다가, 언덕 위 그늘에서 낮잠자다가, 다시 길가에서 어슬렁 거리는 삶을 살고 있다.

가끔은 그런 녀석들이 부럽다.

서울에 산다”에 대한 답글 2개

Add yours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워드프레스닷컴에서 웹사이트 또는 블로그 만들기

위로 ↑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